inode :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자료구조로, 파일은 무조건 연결된 inode가 존재한다.
ls -i
-i 옵션을 통해 파일에 대한 inode number (inode 식별자)를 확인할 수 있음.
하드 링크
같은 inode를 공유하는 완전히 동일한 파일을 생성.
ln [origin] [linkfile]
- 하드 링크는 동일한 데이터를 참조하기 때문에 하나의 하드 링크 정보가 변경되면 하드 링크된 다른 모든 파일의 정보가 동일하게 변경됨.
- 원본 파일이 삭제되도, 하드 링크가 된 파일이 존재하면 액세스가 가능함.
- 하드링크는 동일 파일시스템이어야 하고, 디렉토리이면 안된다.
심볼릭 링크 (=소프트 링크)
ln -s [origin] [linkfile]
- 다른 파일 시스템이라도 링크 가능
- 디렉토리나 특수 파일도 링크 가능
심볼릭 링크로 생성된 디렉토리의 원본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법
ln -s /var /home/var
cd -p /home/var ====> /var로 이동
하드링크와 심볼릭 링크의 inode 비교
원본 test.log와 하드링크 된 hl.log는 같은 inode,
원본 test.log와 심볼릭 링크 된 sl.log는 다른 inode 번호를 가지고 있다.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프로세스 상태 및 명령어 (0) | 2025.05.29 |
---|---|
[Linux] VIM 편집기 활용 (0) | 2025.05.15 |
[Linux] 패턴을 이용한 파일 선택 방법 (0) | 2025.04.29 |
알아두면 시간을 줄여주는 유용한 리눅스 터미널 단축키 & 커맨드 사용법 (0) | 2025.04.17 |